저번 글에서는 landmark detection이라는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얼굴의 특징점들을 얻고 각 거리를 구하여 얼굴의 비대칭성을 구했었다.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웹캡을 활용하는 방법이었다. 따라서 노트북으로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얼굴을 찍어 넘기게 하였다. 프론트엔드는 리액트라는 자바스크립트 api를 활용하여 구성하였다.
메인 화면
웹페이지는 총 3개의 큰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. 페이지 상단에는 여러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는 Navigation Bar가 위치해 있고 중앙에는 현재 화면이 표시된다. 처음은 홈 화면으로, 누구든지 사용 방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 이름과 함께 검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는 사진 찍기 버튼으로 구성하였다.
검사 방법
사진 찍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간단할 설명과 함께 예시 표정이 오른쪽에 주어진다. 검사 방법 밑에 위치한 사진 찍기 버튼을 다시 누르게 되면 다음 창으로 넘어가 웹 캠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캡처한 후 검사를 위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. 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.
- 카메라가 바닥과 수평인지 확인 해주세요.
- 얼굴에 그림자가 지지 않도록 밝은 곳에서 진행해주세요.
- 오른쪽 사진과 같이 정면을 보고 웃어주세요.
- 카메라를 응시한 채 '캡쳐' 버튼을 눌러주세요.
-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잠시 기다려주세요.
사진 찍기
사진 찍기 버튼을 누를 경우 위와 같이 사진을 찍을 수 있다. 웹캠이 화면에 표시되면 앞선 설명에 나와 있던 대로 사진을 찍으면 된다. 왼쪽의 캡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진은 서버로 전송되고 분석 과정을 거치게 된다.
결과 출력
사진을 전송한 뒤 잠시 후 인식된 얼굴의 사진과 함께 계산에 사용된 얼굴 부위의 좌표들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. 그리고 왼쪽에는 뇌졸중 의심 여부에 대한 판단과 함께 분석한 결과의 세부 사항들을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출력하였다. 위 결과에서 뇌졸중 의심 여부 : false이므로 뇌졸중이 의심되지 않는 것으로 나온다. 또한 눈, 입술, 코의 비대칭성을 수치로 보여주어 어느 부위가 비대칭적인지 알 수 있게 하였다. 사진은 위에서 찍을 때와 다른 사진이다.
이외의 페이지들
네비게이션 바의 설명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다른 정보들도 알 수 있다.
소스코드는 마지막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.
'프로젝트 > 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] 뇌졸중 의심 자가진단 프로그램 개발환경 및 소스 코드 그리고 느낀점 (0) | 2021.08.26 |
---|---|
[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] 장고 프레임 워크를 활용한 백엔드 구현기능 (0) | 2021.08.26 |
[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] 안면비대칭 계산 방법과 결과 예측 (0) | 2021.08.21 |
[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] 작품 설명 (0) | 2021.08.21 |
[2021 소프트웨어 공모전] 기획 의도 (0) | 2021.08.21 |